
SK텔레콤이 호서대학교·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함께 수중 기지국 기반 통신망에 해양 오염 탐지 센서를 연결해 바닷속 오염을 실시간 감시하는 시범 연구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세계 최초로 수중 기지국을 활용해 해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시범 연구가 기존 해수 오염 감지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대한민국 근해의 오염을 확인은 국가 기관에서 해당 해역의 바닷물을 채취한 후 이를 실험실로 가져가 분석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기존 방식은 빠르게 해수 오염을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 연구는 23일부터 27일까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대교 약 4km 전면 해역의 수심 약 30m 지점에서 관련 장비를 설치하고 테스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광안대교 인근 수중에 설치된 기지국과 해양 오염 탐지 센서를 탑재한 수중 센서 노드는 해양 오염을 10분 단위로 측정해, 센서에서 수중 기지국을 거쳐 해상 부이까지 음파 통신으로 전달한다. 해상 부이에는 수중통신모뎀과 함께 해상에서의 통신을 위해 개발된 다중 육상통신망 스위칭 시스템이 탑재돼 최적의 통신망을 선택해 육지의 수중 데이터 관리 플랫폼으로 측정 수치를 전송한다.
특히 SK텔레콤의 망설계 최적화 솔루션이 연계되어 있어 망 커버리지를 예측하고 수중망에 연동 가능한 해상 영역을 가늠하는 중요 기반이 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잦은 통신 단절이 발생하는 수중 음파통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중에서도 육지와 마찬가지로 관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할 수 있어 대한민국 수중사물인터넷(IoUT, Internet of Underwater Things) 시대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해양 오염 조기 경보 등 각종 해양 재해 및 환경 감시 ▲수중 로봇간 통신 ▲해양플랜트 관리 ▲쓰나미·해저 지진 등 재난 대응 ▲어족자원·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수중 항만 방어 체계 구축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고학림 호서대학교 교수는 "세계 최초로 선보이는 수중기지국 기반 수중 통신 기술은 우리나라가 수중통신 기술 관련 시장을 선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번 시험은 수중 IoT 서비스의 좋은 사례로서 수중통신망 기술은 한국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형식 SK텔레콤 인프라 운용그룹장은 "SK텔레콤이 보유한 첨단 통신기술로 대한민국의 바다를 안전하게 지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민관학이 함께 이뤄낸 이번 성과를 시작으로 수중사물인터넷 시대를 선도하는 것은 물론, ICT를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등 ESG 경영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데일리e뉴스= 오현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