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무공해·무소음이 장점…현재 가격 비싸지만 대중화 시 경쟁력 있어

현대모비스는 수소전기차에 적용된 수소연료전지모듈을 활용해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소 발전시스템을 구축했다.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 핵심부품을 전용 공장에서 일관 생산하고 있는 독자 기술력을 자동차 분야가 아닌 발전 시스템에 응용한 사례여서 주목받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충북 충주 수소연료전지 공장 내에 ‘수소 비상 발전시스템’을 구축해 운전에 돌입했다고 13일 밝혔다.
향후 이 수소 비상 발전기는 공장 정전 시 비상 전원, 계절별 전력 사용량 증가에 대비한 보조 전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수소차 부품공장 가동에 소요되는 전기의 일부를 수소에서 뽑아내는 것이다.
수소 비상 발전시스템은 현재 양산 중인 수소전기차 넥쏘에 탑재되는 수소연료전지모듈을 그대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차량용 수소연료전지 5개를 나란히 병렬로 연결해 최대 450kW급 발전용 시스템을 만든 것. 이 발전량은 충주공장 전체 전력 소모량의 약 7% 수준이다.
현대모비스는 수소전기차의 연료전지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한편, 발전기에 필요한 병렬 제어기, 열관리 시스템, 무정전 전원장치(UPS) 등은 별도로 개발했다.
수소 발전시스템의 특징은 전기를 만들어내는 연료전지모듈의 수량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다는 것이다. 건물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비상 발전량, 보조 전력양에 따라 필요한 만큼 연료전지모듈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수소연료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은 모두 방폭 설계가 돼 있고 수소 자동 감지, 외부 배기 시스템 등이 작동하기 때문에 안전 측면에서도 염려가 없다.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시스템은 높은 에너지 효율과 무공해, 무소음 측면에서도 장점이 크다. 다만 현재 인프라가 미흡해 설치비용이 비싸지만 수소 에너지 사용이 활성화되면 가격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충주공장 운영을 시작으로 국내외 다른 생산 거점에도 수소 비상 발전시스템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안병기 현대모비스 전동화사업부장은 “충주공장 수소비상발전시스템은 수소차 핵심 기술을 활용해 수소 사회를 구현하는 첫 걸음”이라면서 “차량용 수소연료전지모듈은 발전뿐 아니라 수소 열차나 선박, 드론, 건설기계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도 접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