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e뉴스= 전수영 기자] 한화그룹이 '한화 태양의 숲' 캠페인을 통해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한화 태양의 숲은 한화가 2011년 사회적기업인 트리플래닛과 파트너십을 맺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내외에 친환경 숲을 조성해온 활동이다. 지난 2012년 몽골 토진나르스 사막화 방지숲을 시작으로 중국, 한국 등에 지금까지 총 7개의 숲을 조성했다. 이를 모두 합치면 약 133만㎡의 면적(여의도 면적의 4.6배)에 약 5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한화 태양의 숲은 해당 지역의 사막화 방지, 수질 정화, 대기 정화, 토사 유출 방지와 같은 효과를 거두고 있다. 몽골에서는 무단벌목과 방화로 인한 사막화로 고향을 떠나야만 했던 주민들이 숲 조성 이후 다시 돌아와 산림관리원으로 생계를 이어나가는 등 지역 주민들의 삶에도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한화 태양의 숲 양묘장은 일반적인 양묘장과는 달리 묘목을 키우는 데 태양광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화석연료를 이용할 때와 달리 온실가스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으로 숲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런 노력으로 이 캠페인은 태양광 발전을 활용해 묘목을 키워 사막화 방지 활동을 한 세계 최초 기업 사례로 지난 2011년 UN사막화방지협약(UNCCD) 총회에서 모범사례로 소개된 바 있다. 또 2018년 UN본부에서 개최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고위급 정치포럼' 부대행사에서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모범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캠페인 론칭 10주년을 맞이한 올해도 8호숲 조성(도심 숲)을 계획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화 영향으로 캠페인 참가자들이 직접 나무를 심는 활동이 아닌 디지털 공간을 활용한 비대면 캠페인 활동을 통해 한화 태양의 숲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다.
지난 10년간의 활동을 조명하고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향후 실천의지를 전달하고자 3분 분량의 기념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를 비롯해 한화그룹이 운영 중인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채널을 통해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대면접촉 보다는 디지털 공간을 통한 소통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캠페인 전용앱인 '태양의 숲(SOLAR FOREST)'을 론칭했다. 앱스토어와 플레이스토어에 접속하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한화 태양의 숲 캠페인 실무 책임을 맡고 있는 박지영 한화커뮤니케이션위원회 상무는 "코로나19는 기후변화와 생태계 보호와 같은 '친환경' 어젠다를 우리 삶에 필수적인 영역으로 가지고 왔다. 한화 태양의 숲은 한화가 추구하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대표하는 캠페인으로 지난 10여 년 동안 진정성을 바탕으로 이어왔다"며 "한화 태양의 숲을 통해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기후변화를 막는 숲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자의 일상에서 친환경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