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진전략 일정 공유 및 온실가스 감축 기술혁신·이행안 수립 방향 의견 나눠

[데일리e뉴스= 오현주 기자]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환경부와 산업계가 테이블에 앉았다.
환경부는 29일 산업계와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탄소중립 지원 협의체' 첫 회의를 개최했다.
협의체는 배출권거래제 대상 업종별 대표기업, 협회, 전문가 82명으로 구성되며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고 논의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6개 그룹으로 구분해 운영한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지난해 12월 7일 발표된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향후 일정을 공유했다. 또 오는 6월까지 마련할 예정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산업계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한 논의도 했다.
아울러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올해 말까지 수립할 계획인 '배출권거래제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혁신·이행안(로드맵)' 수립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기술혁신·이행안에는 최적가용기법 적용 및 배출효율 기준 할당 확대와 연계한 혜택 부여, 유상할당 비율 개선 등 배출권거래제의 주요 개선 방향이 포함된다.
환경부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수립과 배출권거래제 개선안 마련에 산업계가 지속 참여할 수 있도록 올해 11월까지 탄소중립 지원 협의체를 매월 정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금한승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가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 요소"라면서 "탄소중립 시나리오 마련을 비롯해 배출권거래제도 개선 과정에서 산업계와 계속 긴밀하게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인용할 경우 데일리e뉴스 원문 링크도 남겨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