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가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이사회 개편에 나선다.
잇단 금융사고로 훼손된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이사회에 내부통제 전문가를 수혈, 사외이사 중 절반 이상을 교체할 예정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 사외이사 7명 중 4명이 바뀔 예정이다.
정찬형 이사는 최장 임기 6년을 채워 물러나고, 지성배 이사는 자신을 추천한 IMM PE가 과점 주주 지위를 상실하면서 자리에서 내려온다.
지난해 2년 임기로 처음 선임된 박선영, 이은주 이사를 제외하고 신요환, 윤수영, 윤인섭 이사 중 2명도 새 인물로 교체될 예정이다.
특히 신임 사외이사 중 최소 1명 이상은 준법 감시, 윤리 경영 등의 업무를 맡아본 내부통제 전문가로 선임한다는 방침이라는 게 회사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앞서 금융감독원이 지난 13일 금융지주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사외이사의 내부통제 역할 강화를 주문한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정진완 우리은행장이 지주 이사회에 합류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으나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외이사 수는 기존과 동일한 7명을 유지된다.
우리금융은 오는 28일 신임 사외이사 후보를 확정해 공시하고, 다음달 26일 주주총회에서 최종 의결을 거쳐 공식 선임할 계획이다.
우리금융이 이처럼 내부통제 강화에 힘을 쏟는 데는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등 지난해 연이어 발생한 금융사고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잇단 금융사고로 내부통제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 만큼 이를 쇄신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다.
실제 우리금융은 올해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내부통제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도 신년사에서 “신뢰가 훼손된 우리금융을 더 단단한 신뢰의 기반 위에 바로 세우는 것은 지금 우리가 해야만 하는 일”이라며 “그룹의 ‘내부통제’ 체계 전반을 근원적으로 혁신하고, ‘윤리적 기업문화’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후 ‘2025년 그룹 경영전략워크숍’에서는 올해 경영전략을 공유하고 ‘윤리경영 실천 서약식’을 통해 윤리경영 실천에 대한 결의를 다졌다.
임 회장은 이 자리에서 “올해는 신뢰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 개인의 윤리의식 제고와 조직 내 윤리적 기업문화 정착, 그룹 차원의 윤리경영 실천에 모두가 한뜻으로 몰입해 반드시 ‘신뢰받는 우리금융’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데일리e뉴스= 장미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