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기술 제품] SM그룹 "친환경 제품 적극 개발···지속가능 미래 선도"
[친환경 기술 제품] SM그룹 "친환경 제품 적극 개발···지속가능 미래 선도"
  • 임남현 기자 nhlim@dailyenews.co.kr
  • 승인 2024.11.26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M그룹 친환경 핵심 가치.(사진=SM그룹)

"친환경 기술을 통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사업적 가치 창출은 물론, 대기오염 저감에도 적극 앞장서는 등 환경친화적 기업으로 거듭나겠다"

SM그룹은 친환경 기술을 도입한 제품 개발은 물론, 이를 상용화해 친환경 기업으로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SM그룹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성장'이라는 경영 철학 아래 친환경 기술을 핵심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 기술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기술과 제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친환경 기술 제품 개발을 통해 장기적인 가치 창출에 주력할 것"이리고 말했다.

친환경 자재가 적용된 '광주태전 경남아너스빌 리미티드' 투시도.(사진=SM그룹)

■ 스마트 건축 통한 효율 극대화···"친환경 기술 선도"

SM그룹은 건설·건축 자재 분야에서 친환경 기술을 선도 중이다. 그룹 계열사인 삼라와 우방이 재활용 가능한 자재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건축 기술을 개발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폐기물을 재활용해 건축용 보드러 재탄생 한 친환경 자재는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며, 건축물의 수명 연장과 에너지 절감을 돕는다.

제조부문 계열사 티케이케미칼 역시 재활용 사업인 'K-rPET(국내 생산 재활용 페트병)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밖에 ▲SM벡셀 신재생에너지 기술특허 획득 ▲SM상선 친환경 선박 및 컨테이너 투자 ▲대한해운LNG 친환경 선박 관련 LNG 벙커링 사업 ▲SM우방산업의 건설현장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등 친환경 사업에 나서고 있다.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위해 '스마트 건축 기술' 개발 투자도 한창 진행 중이다. SM그룹은 사물인터넷(IoT) 기반 건축 관리 시스템을 통해 건축물 에너지 소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 중이다. 

회사 측은 "이 솔루션은 에너지 절감 뿐만 아니라, 입주자들에게 더욱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재탄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SM그룹은 물류와 해양 산업에 친환경 기술을 도입했다. 그룹 또 다른 계열사인 대한해운은 저탄소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운영하며 해운 업계의 탄소 배출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LNG(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 도입과 기존 선박의 연료 효율화를 위한 엔진 개조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물류 분야에선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을 물류 네트워크에 도입해 배달 및 운송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친환경 기술 도입은 지속 가능 경영 철학을 실현하는 한편, 고객과 신뢰를 강화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친환경 기술 박람회인 '2024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 내 SM벡셀 부스.(사진=SM그룹)

■ 재생에너지 순환경제 모델 발굴···"지속 가능성 강화"

SM그룹은 신재생 에너지와 순환경제 모델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그룹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과 탄소 중립 실현을 목표로 한다. 

폐기물 자원화 기술을 통해 산업 폐기물을 에너지 및 자원으로 전환하는 순환경제 시스템도 구축했다. 특히 회사가 개발한 폐자원 기반 연료 전환 기술은 제조업과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 큰 영향을 끼쳤다.

단순히 폐기물 양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해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SM그룹 관계자는 "환경과 경제적 가치를 모두 잡고자 하는 SM그룹의 행보는 국내외 기업들에게 지속 가능 경영의 모범 사례로 자리잡았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친환경 제품과 기술로 글로벌 환경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데일리e뉴스= 임남현 기자]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만리재로 14 르네상스타워 1506호
  • 대표전화 : 02-586-8600
  • 팩스 : 02-582-8200
  • 편집국 : 02-586-8600
  • 광고마케팅국 : 02-586-860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남현
  • 법인명 : (주)데일리경제뉴스
  • 제호 : 데일리e뉴스
  • 등록번호 : 서울 아 05140
  • 등록일 : 2018-04-25
  • 발행일 : 2018-05-01
  • 대표이사/발행인 : 김병호
  • 편집인 : 정수성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 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고충처리인 김병호 02-586-8600 dailyenews@naver.com
  • 데일리e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데일리e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ilyenews@naver.com
ND소프트